에너지산업진흥원
 
 
 
   
 
산업정보 홈 > 진흥원소개 > 산업정보
 

[에너지경제] [EE칼럼] 에너지안보 위기 대응책 찾아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6-11-28 09:52 조회3,563회 댓글0건

본문

[에너지경제] [EE칼럼] 에너지안보 위기 대응책 찾아라

 

유인창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교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 때문에 미국 석유업계의 미세한 움직임이 심상치 않아 보인다. 저유가가 지속되는 가운데 국제 석유 개발 전문기업들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특히 중국-일본이 민첩하게 움직이고 있다. 중국은 2013년 시진핑 국가주석이 취임한 이래 국영 석유기업의 육성과 대형화, 상·하류 부문의 수직계열화를 장기적인 에너지전략 목표로 추진 중이다. 일본 역시 해외 자원개발 사업을 활발히 추진하면서 총리의 정상외교와 자원부국과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현재 일본의 해외 자원개발 전문기업인 INPEX사는 일산 41만 배럴의 세계 53위 기업으로 성장했고 2020년까지 일산 100만 배럴을 목표로 삼고 있다. 특히 올해 5월 일본의 경제산업성이 발표한 ‘2015년 에너지백서’에 따르면 2014년 일본의 석유·가스 자주개발률은 24.72%(일산 132만 배럴)를 기록했다. 아울러 2030년까지 석유·가스 자주개발률을 40%(일산 215만 배럴) 이상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중국과 일본은 저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싸지자 해외자원 개발 투자액을 2014년 기준으로 일본은 11조 4006억 엔으로 한국의 13.7배 이상, 중국은 712억 1000만불로 한국의 10.5배 이상 투자를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자원외교 국정조사, 에너지 공기업에 대한 예산 삭감 등으로 신규 투자가 사실상 중단됐고 , 민간기업의 사업 투자 중단으로 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6년간 해외 자원개발 사업에 대한 총 투자액은 2009년 57억불, 2010년 91억3000만불, 2011년 103억5000만불, 2012년 88억불, 2013년 75억6000만불, 2014년 68억불로 2009년 이후 증가하다 2011년을 정점으로 4년 연속 하락하고 있다. 이 중 석유, 가스 등 순수 에너지자원 개발 사업만을 위한 투자액은 총 투자액 대비 2009년 82%인 46억7000만불, 2010년 71%인 64억9000만불, 2011년 88%인 90억7000만불, 2012년 79%인 69억6000만불, 2013년 68%인 51억5000만불, 2014년 70%인 48억2000만불로 역시 2009년 이후 증가한 후 2011년을 정점으로 4년 연속 급락했다. 

 

아울러 국내 기업의 신규 해외유전 개발 사업 참여 현황도 2009년 31건, 2010년 25건, 2011년 41건을 정점으로 2012년 18건, 2013년 8건, 2014년 3건으로 급감했다. 신규 사업 급감으로 국내 기업의 해외유전 개발 사업으로 확보한 매장량도 2009년 38억 배럴, 2010년 37억 배럴, 2011년 64억 배럴에서 2012년 55억 배럴, 2013년 43억 배럴, 2014년 30억 배럴 이하로 감소세다.  

 

2011년 이후 국내 기업들의 석유, 가스 등 해외유전 개발 사업에 대한 투자 감소는 2016년 현재까지 이어지고 설상가상으로 2014년 후반기부터 시작된 저유가 영향으로 2017년에도 국내 기업들의 석유, 가스 등 해외유전 개발 사업에 대한 투자는 거의 없을 전망이다. 따라서 2017년 국내 기업의 해외유전 개발 사업에 의해 확보될 수 있는 매장량은 10억 배럴 이하로 감소할 전망이다.  

 

10억 배럴 이하 매장량은 석유자급률 1.3%대 이하인 2000년도 이전 수준으로 떨어지는 반면에 2017년 국내 석유 소비량은 하루 약 280만 배럴 수준 이상으로 증가해 경제성장률 둔화와 함께 유가 등락에 따라 국내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더구나 규모 5.8의 경주지진은 원자력 발전에 대한 위기로 국내 에너지 수급 및 전력 생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그러나 이런 국가에너지 안보의 위기에도 정부와 에너지 공기업들이 이 위기를 극복할 뚜렷한 전략이나 정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더욱 큰 문제다. 새롭게 재편될 국제정세 변화와 함께 곧 다가올 새로운 고유가 시대를 대비할 국가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한 조치가 시급하다. 민간 기업을 중심으로 해외자원 개발 사업의 부활을 생각한다. 

 

자세히보기

에너지경제 2016년 11월 27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상호 : 에너지산업진흥원 | 고유번호 : 761-82-00116 | 대표자 : 권혁수
  • 주소(포항) : 37668 포항시 남구 지곡로 394 제1벤처동 B114 | Tel 054-223-2278 | Fax 054-223-2279
  • 주소(서울) : 06373 서울시 강남구 자곡로 174-10 강남에이스타워 412호 | Tel 02-6211-5020 | Fax 02-6211-5025
  • Copyright@ 에너지산업진흥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