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산업진흥원
 
 
 
   
 
산업정보 홈 > 진흥원소개 > 산업정보
 

'탈원전' 독일 연립정부내 원전재가동 둘러싸고 갈등 고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2-08-02 16:02 조회1,641회 댓글0건

본문

연합뉴스, 2022.08.02.(화)


(베를린=연합뉴스) 이율 특파원 = 러시아가 유럽행 가스관을 틀어 잠근 가운데, 독일 연립정부 내에 가스를 대체할 원전 가동 연장을 둘러싸고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집권 신호등(사회민주당-빨강·자유민주당-노랑·녹색당-초록) 연정에 참여중인 자민당이 2024년까지 원전 가동 연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반면, 녹색당은 원전 가동 연장은 어떤 일이 있어도 안 된다는 입장이다.

독일은 당초 올해 연말까지 현재 남은 원전 3곳의 가동을 전면 중단하고 탈원전을 실현하기로 했었다.

크리스티안 린드너 자민당 대표 겸 독일 재무장관은 31일(현지시간) 독일 빌트암존탁에 "안전하고 기후친화적인 원전의 가동을 중단하기보다는 2024년까지 연장해야 할 근거가 많다"고 말했다.

독일 내에서 천연가스는 난방에 주로 사용된다. 이에 더해 전력생산의 10%는 가스를 통한 발전에 의존하고 있다. 린드너 장관은 가스공급난을 막기 위해 더는 가스를 통한 전력생산을 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리카르다 랑 녹색당 공동대표는 ZDF방송에 출연해 "린드너 장관이 하려는 것은 원자력 사용을 다시 시작하자는 것일 뿐"이라며 "이는 우리와 함께는 어떤 일이 있어도 안 된다"고 말했다.

역시 녹색당 소속인 로베르트 하베크 독일 부총리 겸 경제·기후보호부 장관은 이달 말까지 전력생산 안전과 관련한 두번째 스트레스테스트 결과를 기다려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경제·기후보호부 대변인은 "주장이 아닌 사실과 분석에 기반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야당은 한술 더 뜨고 있다. 알렉산더 도브린트 기독사회당(CSU) 지역대표는 원전 가동을 2027년까지 연장해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고, 금속경영인협회는 원전 신규 건설 검토를 촉구하고 나섰다.

한편 독일은 조만간 첫 석탄발전소 재가동에 나선다.

독일 정부가 러시아의 에너지 공급 축소에 대응한 긴급조처로 가동하지 않은채 예비전력원으로 남겨뒀던 석탄화력발전소들을 재가동하기로 한 데 따른 것이다. 이 조처는 지난 14일부터 시행중이다.

독일은 니더작센주 하노버와 브라운슈바이크 사이 메룸 석탄화력발전소부터 가동을 재개할 계획이다.

러시아는 지난 2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자국을 제재해온 유럽에 대한 보복 차원에서 천연가스 공급을 줄여왔다. 독일은 러시아산 천연가스의 최대 수요국이다.

러시아의 국영 가스회사 가스프롬은 최근 장비 점검을 이유로 11일부터 열흘간 노르드 스트림1을 통한 유럽행 천연가스 공급을 끊었다가 21일 평소 공급량의 40% 수준으로 재개했고, 27일에는 다시 그 절반 수준인 20%로 줄였다.

yulsid@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상호 : 에너지산업진흥원 | 고유번호 : 761-82-00116 | 대표자 : 권혁수
  • 주소(포항) : 37668 포항시 남구 지곡로 394 제1벤처동 B114 | Tel 054-223-2278 | Fax 054-223-2279
  • 주소(서울) : 06373 서울시 강남구 자곡로 174-10 강남에이스타워 412호 | Tel 02-6211-5020 | Fax 02-6211-5025
  • Copyright@ 에너지산업진흥원 All rights reserved.